분류 전체보기
-
(펌, 번역) 자본주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외전 2023. 2. 7. 00:29
MacroAlf라는 분이 쓰신 글을 pluto research에서 번역하신 글이 생각할 거리를 주는거 같아 가져와봅니다. ------------------------- 우리는 종종 다음달이나 올해 시장이 어떻게 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는 함. 단기 성과에 집중하다 보면, 나무만 보고 숲을 놓칠 위험이 있음. 매크로의 거시적 그림에서 우리가 어디에 서 있고 최종적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논해보려고 함. 1971년에 금 본위제가 끝났음. 닉슨 대통령은 USD를 고정 가격으로 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종식시켰고, 그 이후로 우리가 익히 아는 탄력적 법정 화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도입했음. 상업은행과 정부는 이제 허공에서 신용을 창출하고, 새로 창출된 화폐의 내재가치에 대해 전혀 걱정할 필요 없이 민간 부문에 ..
-
[2023.2.7] 터키에서 규모 7.7 강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외신+a 2023. 2. 7. 00:17
터키와 시리아 북서부 국경 지역에서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해 지금까지 적어도 1천 명이 숨지고 수천 명이 다쳤다고합니다. 터키 지진이 터키의 에너지 인프라에 미친 영향으로는 1 - Cyhan 송유관의 선적이 중단됨 2 - 가스관이 폭팔하여 2곳에서 화재 발생 3 - Botas Dortyol LNG(FSRU)가 지진 지역에 있음 4 - 발전소 및 전력선이 손상됨 (Source : Twitter, Anas Alhajji) 이 있다고합니다. 인플레로 힘들던 터키 경제에 이중고가 발생했는데요, 리라화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노무라에서 지난 금요일 예상보다 더욱 강한 노동 시장 지표에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를 기존 2023년 9월 인하 기대감에서 일주일만에 2024년 3월로 연기하였습니다..
-
[2023.2.4] 애플, 구글 실적 부진... 다음 금리 인상은?외신+a 2023. 2. 4. 00:52
애플이 22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아이폰과 맥의 판매부진으로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매출 감소세를 기록하였습니다. 4분기 매출액은 시장 예상치인 1,211억 달러를 밑도는 1,171.5억 달러였으며 주당순이익 역시 1.88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1.94달러를 하회했습니다. 세부적인 매출로는 아이폰과 맥 부문 매출이 시장 예상치인 682억9천만 달러, 96억3천만 달러에 반해 각각 657억8천만 달러, 77억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17%, 28.66% 감소하였습니다. 애플의 ceo는 작년의 달러강세가 수출 약화로 이어졌으며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생산문제가 아이폰14 프로 및 아이폰14 프로 맥스에 타격을 준 점 등이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어닝..
-
[2022.2.3]fomc 이후는 축제 분위기 다음 주목해야 될 지표는...?외신+a 2023. 2. 3. 00:25
금번 fomc가 예상과 같이 25bp 인상과 더불어 파월의 비둘기적인 발언으로 인해 나스닥이 급등을 보여줬는데요 이후로도 메타가 호실적을 발표하며 프리장에 20% 급등하는 등 시장은 축제와도 같은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현명한 투자자라면 시장의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바라봐야 하는데요 과연 지금과 같은 급등이 타당한 것일까요? 다음으로 주목해야 될 지표는 2월 14일 발표되는 1월의 cpi입니다. 전일 발표된 유로존 cpi는 전년대비 8.5% 상승으로 예상치를 하회, 한국의 cpi는 5.2%로 예상과 부합했습니다. 미국의 예상 cpi는 전 월과 동일한 6.5%인데요 이번 cpi는 향후 금리경로를 예상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거 같습니다. 아래는 하나 채권 김상훈님의 2월 fomc ..
-
[2023.2.2] 대망의 2월 fomc... 50bp 인상 가능성은? 외외신+a 2023. 2. 2. 00:12
한국 시간으로 2월 2일 새벽 4시 열리는 fomc가 다가왔습니다.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가 106k로 예상치인 178k를 하회했으나 fomc를 앞두고 있는 만큼 시장에 큰 영향은 주지 못했습니다. 이번 fomc의 금리 예상치는 25bp 인상으로 4.75% 달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래 cme에서 제공하는 fedwatch에서 볼 수 있듯이 25bp 인상 확률을 99.9%로 보고 있으며 금리 동결 및 50bp 인상을 할 이유도 명분도 없는 만큼 이러한 추정은 타당해 보입니다. 연준의 비공식 대변인이라 불리는 닉 티마리오스 기자는 지난 22일, 금번 fomc에 연준이 25bp 인상과 함께 금리인상 중단을 논의할 것이라 했었으나 3일 전인 30일에는 말을 바꿔 타이트한 노동시장때문에 인플레이션 억제가 ..
-
[2023.2.1] 엑슨 모빌 창사 이래 최대 이익 기록 외외신+a 2023. 2. 1. 00:41
골드만삭스는 2월, 3월, 5월 FOMC회의에서 연준이 25bp 금리인상 후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고있습니다. 다만 성장과 고용 회복을 위한 조정 가능성이 존재함을 언급하였습니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도 나오고 있는반면에 금리상승에 베팅하는 미 국채에 대한 투기성 순매도 포지션은 약 240만 계약으로 역대급 규모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 과연 거짓말쟁이는 누구일까요? IMF의 2023년 세계 각국 경제 전망입니다. 미국은 1.4%, 독일은 0.1%, 일본은 1.8%, 한국은 1.7%입니다. 세계 성장률은 기존보다 0.2% 증가했으며 영국은 G7 중 유일하게 역성장인 -0.6%입니다. 테슬라에 이어 포드도 전기차인 머스탱 마하의 가격 인하를 결정했다는 소식입니다. 자동차 업..
-
[2023.1.31] 홍콩 증시 급락, 본토 자금의 집중 매도 왜? 외외신+a 2023. 1. 31. 00:39
금일 중국 본토증시인 심천지수는 외국인이 13개월래 단일거래일 최대 순매수(186억)를 하며 상승했지만 홍콩증시는 본토 자금이 5개월래 가장 큰 폭의 순매도(약 80억위안)를 보이며 급락 마감하며 외인과 로컬자금의 시각이 완전히 엇갈렸습니다. 본토 자금 순매도 관련 특별히 파악되는 부분은 아직 없지만, 12월 이후 급상승에 따른 로컬 펀드의 움직임이 있었다고 추정됩니다. 빅테크 대부분 낙폭이 컸고, 부동산과 금융, 단기 재료 소진한 소비재와 헬스케어 및 플랫폼도 급락. 미국 대형주들의 실적발표와 fomc를 앞두고 로컬자금이 실적 검증에 돌입한것인지 단순 수급이슈인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는 금주 주요 실적 발표입니다. 특히 애플의 경우, 지난 12월 연말의 아이폰 판매 실적과 테크 섹터 중심으..
-
[23.01.29] 이란, 이스라엘 공격 외외신+a 2023. 1. 30. 00:53
(CNBC) Bomb-carrying drones targeted an Iranian defense factory in the central city of Isfahan overnight, authorities said early Sunday, causing some damage at the plant amid heightened regional and international tensions engulfing the Islamic Republic. 이란 중북부 지역 군사시설이 현지 시각 28일 밤, 드론 공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란 국방부 장관은 공격국을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이스라엘일 것으로 보입니다. 이란은 이슬람 혁명 이후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를 이어오고 있으며 오랫동안 서로의 군사시설 등을 ..